한양에 세운 조선 왕조 최초의 궁궐 경복궁 ⑧⑧
네이버 지도
경복궁
map.naver.com
🏛️ 주소 : 서울 종로구 사직로 161
⏱️ 관람시간 :
1월~2월, 11월~12월 | 09:00~17:00 (입장마감 16:00) |
3월~5월, 9월~10월 | 09:00~18:00 (입장마감 17:00) |
6월~8월 | 09:00~18:30 (입장마감 17:30) |
휴무일 : 매주 화요일
※ 단, 정기휴일이 공휴일 및 대체공휴일과 겹칠 경우에는 개방하며,
그 다음의 첫 번째 비공휴일이 정기휴일임
💸 관람요금 :
경복궁 | 대인 | 3,000원 | 3,000원 | 2,400원 | 2,400원 | 내국인 만25세~만64세 외국인 만19세~만64세 |
☎️ 연락처 : 02-3700-3900
🅿️ 주차 : 경복궁주차장은 ㈜제일비엠시에서 위탁 관리하는 경복궁 부설주차장입니다.
광화문에서 삼청동 가는 길 초입 좌측편에 위치
버스 50대(지상), 승용차 240대(지하)
유의사항
- 주차장 운영시간: 06:00 ~ 23:00
- 장애인주차장: 지상주차장(9면)
- 환경친화적자동차 또는 저공해자동차(하이브리드차 포함) : 지하주차장(9면)
- 전기차 충전소 : 지상주차장(6면)
※휠체어를 이용하시는 분은 지상주차장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주차요금 : 소형차 (기본 1시간 - 3,000원 / 초과요금 - 10분당 800 / 회전시간 - 10분 무료)
왕가의 길 섹션 첫번째 목적지 경복궁.
필자는 서울 나들이 할때 보통 버스를 이용한다.
빠르기야 지하철이 최선이지만, 조금 느린듯 하지만 창가 자리에 앉아 바깥 풍경을 바라보는 것을 좋아한다.
보통 673번을 타고 신촌으로 이동하거나 광역버스를 타고 홍대로 이동한 후 가고자 하는 목적지로의 버스로 환승을 하여 이동한다.
이번에는 1301번 광역버스를 타고 이대역 버스정류장에서 하차하여 171번 간선버스로 환승하여 경복궁 (01117 안국역6번출구, 인사동방면)에서 하차하여 경복궁으로 향합니다.
경복궁(景福宮)은 1392년 조선 건국 후
1395년(태조 4)에 창건한 조선왕조 제일의 법궁(法宮)이다.
경복궁은 백악산(북악산)을 주산으로 넓은 지형에 건물을 배치하였고 정문인 광화문 앞으로 넓은 육조거리가 펼쳐진 한양의 중심이었다. ‘경복’의 이름은 ‘새 왕조가 큰 복을 누려 번영할 것’이라는 의미가 담겨있으며, 이곳에서 세종 대에 훈민정음이 창제되어 반포되기도 하였다.
경복궁은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는데 그 후 복구되지 못하였다가 270여년이 지난 1867년(고종 4)에 다시 지어졌다. 고종 대에 들어 건청궁과 태원전, 집옥재 등이 조성되었으며, 특히 건청궁 옥호루는 1895년 을미사변으로 명성황후가 시해되는 비운의 장소이기도 하다.
1910년 경술국치 후 경복궁은 계획적으로 훼손되기 시작하여 1915년 조선물산공진회를 개최한다는 명분으로 대부분의 전각들이 철거되었고, 1926년에는 조선총독부 청사를 지어 경복궁의 경관을 훼손하였다. 이후 199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경복궁 복원공사가 진행되었고, 1995년부터 1997년까지 조선총독부 청사를 철거하였으며 흥례문 일원, 침전 권역, 건청궁과 태원전, 그리고 광화문 등이 복원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출처 -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에서 인용 -
[https://royal.khs.go.kr/ROYAL/contents/R101010000.do]

경복궁 관람코의 전체 모습은 위의 내용과 같으며 각 건물에 대한 설명은 아래 연결된 경로 이용하시면 됩니다.
궁능유적본부
궁능유적본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royal.khs.go.kr
국가유산방문자여권 스탬프
국가유산방문자여권 스탬프는 근정전 왼쪽의 수정전 앞에 위치한 사랑 카페 내부에 있습니다.